[경제쏙쏙] '최강 달러'에 환율 불안…또 '슈퍼 엔저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경제쏙쏙 시간입니다.<br /><br />경제부 한지이 기자와 함께 합니다.<br /><br />원·달러 환율이 1,400원 선에 바짝 다가서면서 강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고환율 기조가 언제까지 이어질까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주만 해도 원달러 환율이 1,380원 대였거든요.<br /><br />그런데 지난 25일부터 1,390원 선으로 올라서서 오늘 아침에 확인하니 1,394원대가 됐더라고요. 정말 1,400원대를 목전에 두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의 가치를 반영한 달러인덱스는 106포인트를 넘어서 두 달여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는데요.<br /><br />이처럼 환율이 고공행진하고 있는 건 달러 강세 현상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당초 올해 상반기 중 미 연방준비위원회가 금리를 인하할 것이다, 이런 전망이 있었는데, 예상보다 시점이 뒤로 밀리고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달러 강세 현상이 계속되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지금도 금리를 언제 인하할지는 불투명한 상황이고요.<br /><br />그리고 또 최근에는 유럽연합의 정치·경제적 연대가 약화할 가능성도 제기되면서 유로화는 약세를 보이고 달러 가치는 더 올라갔다는 평가입니다.<br /><br />한일 양국 경제수장의 구두개입이 있었음에도 원화와 엔화 약세가 이어지면서 달러 강세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말씀하신 것처럼 달러 강세가 지속되면서 일본의 엔화 가치도 크게 떨어지고 있잖아요.<br /><br />이른바 '슈퍼 엔저' 때문에 '엔테크'가 활발하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엔화 가치가 곤두박질치고 있어요.<br /><br />달러당 엔화가 160엔을 넘어서면서 심리적 방어선마저 뚫었는데요.<br /><br />달러당 160엔은 1986년 이후 약 38년만입니다.<br /><br />계속되는 엔저에 엔화를 대거 사들이는 '엔화 줍줍족'들도 늘고 있는 추세인데요.<br /><br />엔화는 1년 여전만 해도 100엔당 원화 900원대 초중반을 기록했었는데,<br /><br />최근 두 달간 한 번도 900원대에 진입하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일본은행이 구체적인 양적긴축 방안 발표를 7월로 미룬 상태에서 미국의 금리인하 지연 우려와 유럽 정치 불안이 확대되면서 엔화 약세도 재개된 건데요.<br /><br />이 같은 역대급 엔저에 국내 거주자의 엔화예금 잔액은 사상 처음 100억달러를 돌파했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은행이 발표한 5월 기준 거주자 엔화예금 잔액은 100억7천만달러로 4월 대비 3억6천만달러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엔테크에 나섰던 사람들이 울며 겨자먹기로 계속 엔화예금에 돈을 묻어두거나, 앞으로 오를 일만 남았다고 생각한 투자자들이 엔화예금에 추가 투자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반면 일학개미의 인내심은 끝난 듯합니다.<br /><br />국내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해외 상장 ETF가 일본 증시에 상장된 '아이셰어즈 미 국채 20년물 이상 엔화 헤지'였는데, 최근 들어 무려 1,673만 달러를 팔았습니다.<br /><br />엔저 현상이 지속되면서 일시적으로 달러당 170엔 돌파 가능성도 열어둘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주제를 좀 바꿔보죠.<br /><br />명품 관련 이야기 들고 오셨는데, 한 기자도 명품 구매 오픈런 취재 했었잖아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명품 업체들이 소비자들 줄 세우는 게 당연해졌잖아요.<br /><br />그래서 저도 명동 백화점에 새벽같이 갔었는데요.<br /><br />제가 취재 갔을 때는 백화점들 앞에 텐트까지 쳐져 있었거든요.<br /><br />이렇게까지 사야 하나 싶을 정도였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말씀 들어보니까 명품 브랜드들이 가격 인상을 매년하는데도 인기는 식지 않는 듯 합니다.<br /><br />가격 인상도 보통 1년에 한 차례씩 했던 것 같은데, 'N차 인상'이라는 건 이제 수시로 올린다는 건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말씀하신 것처럼 해외 명품 브랜드들이 올해도 배짱 가격 인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명품 시계의 대명사로 꼽히는 '롤렉스'는 이달 1일에 돌연 시계 가격을 약 5% 올렸습니다.<br /><br />올해 1월 1일 가격을 약 8% 올렸었는데, 반년도 안돼서 두 번이나 올린 겁니다.<br /><br />예비부부 예물로 인기가 높은 한 모델은 1,239만원에서 1,292만원으로 약 4% 넘게 오르는 등 대부분 인기 모델들이 4%가량 비싸졌습니다.<br /><br />앞서 샤넬은 지난 3월 일부 인기 가방의 제품을 7%가량 인상했고, '루이비통'은 지난 2월 일부 가방 제품 가격을 5% 안팎 올렸습니다.<br /><br />에르메스도 최근 인기 제품인 '가든 파티' 가격을 23%나 올렸습니다.<br /><br />앞서 에르메스는 올해 1월 주요 인기 가방과 신발 제품의 가격을 15%가량 올린 바 있는데요.<br /><br />통상 매년 새해에 가격을 한 차례 올리던 곳들이 올해 들어서만 기습 인상으로 두 차례 올리면서 다른 명품 브랜드들도 덩달아 가격을 추가로 올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렇게 명품 가격이 수시로 오르다 보니까 리셀 시장까지 덩달아 커지고 있는 듯한데요.<br /><br />최근 에르메스 리셀이 논란이 되고 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'명품 중의 명품'으로 불리는 프랑스 명품 브랜드 에르메스가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.<br /><br />미 월스트리트저널은 최근 에르메스를 두고 '미친 경제학'이라는 표현까지 썼는데요.<br /><br />'정말 투자할 가치가 있는 브랜드인가'라는 질문을 던진 겁니다.<br /><br />미국 기준 버킨25 블랙 모델 가격은 매장가 기준 1만1400달러, 우리돈 1,600만원 정도 하는데요.<br /><br />이 가방 제가 샀다가 다시 되팔면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무려 2만3천달러 우리돈, 3,200만원까지 뜁니다.<br /><br />2배 넘게 이윤을 남길 수 있겠죠?<br /><br />그럼 리셀 매장에서 사는 사람은 얼마를 줘야 하냐.<br /><br />이걸 따져봤더니 3만2천달러, 우리돈 4,500만원까지 뜁니다.<br /><br />1,500만원 짜리가 유통 과정 두 번 거쳤더니 단숨에 4,500만원까지 오른 겁니다.<br /><br />그럼 이 버킨백 원가는 얼마일까요?<br /><br />140만원에 불과하다고 합니다.<br /><br />매장에서 물건을 사지 못하는 소비자는 원가의 32배가 넘는 가격을 주고 사야한다는건데요.<br /><br />돈이 있어도 구매 실적이 없으면 매장 직원들이 가방 구경도 안 시켜주다 보니까 리셀 시장이 더 커지고 있는 듯합니다.<br /><br />명품 가방들 모두 가죽으로 만드니까 재룟값은 거의 비슷할 겁니다.<br /><br />그런데 물건은 비싸게 팔면서 매년 가격도 계속 올리니까 기업 영업이익률은 엄청 뛰겠죠?<br /><br />치열...